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

[소방전기] [기출문제] 타임차트, 논리식, 유접점회로, 무접점회로

  [기출문제] 타임차트, 논리식, 유접점회로, 무접점회로 [문제] 3개의 입력 A, B, C 가 주어졌을때 출력 XA, XB, XC의 상태를 그림과 같은 타임차트(Time Chart)로 나타내었다.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(2021년 1회 기출) [ 타임차트 ]   (1) 타임차트에 적합하게 논리식을 쓰시오 ① X A = ② X B = ③ X C = (2) 타임차트에 적합하게 유접점(시퀀스)회로를 그리시오 (3) 타임차트에 적합하게 무접점(논리)회로를 그리시오 

[소방전기] [기출문제] 이산화탄소소화설비의 음향경보장치

   [기출문제] 이산화탄소소화설비의 음향경보장치 [문 제 ] 이산화탄소소화설비의 음향경보장치를 설치하려고 한다.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(2021년 1회 기출) (1) 방호구역 또는 방호대상물이 있는 구획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확성기까지의 수평거리를 몇m이하로 하여야 하는가? (2) 소화약제의 방사 개시 후 몇 분 이상 경보를 발하여야 하는가? 

[소방전기] [기출문제] P형 발신기 점검

 [기출문제] P형 발신기 점검 [문 제] P형 발신기를 손으로 눌러서 경보를 발생시킨 뒤 수신기에서 복구시켰는데도 화재신호가 복구되지 않았다.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(단, 감지기를 수동으로 시험한 다음에는 수신기에서 복구가 된다고 한다) (2021년 1회 기출문제) 

[소방전기] [기출문제] 자동화재탐지설비 계통도, 전선가닥수 및 배선의 명칭

   [기출문제] 자동화재탐지설비 계통도, 전선가닥수 및 배선의 명칭 [문제] 다음은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계통도이다. 주어진 조건을 참조하여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(2021년 1회 기출) [조건] ① 설비의 설계는 경제성을 고려하여 산정한다 ② 건물의 연면적은 5,000 ㎡이다. ③ 감지기공통선과 경종표시등공통선은 별도로 한다.  (1) 도면에서 기호 ① ~ ⑥ 의 전선가닥수를 각각 구하시오 (2) 발신기세트에 기동용 수압개폐장치를 사용하는 옥내소화전이 설치될 경우 추가되는 전선의 가닥수와  배선의 명칭을 쓰시오 (3) 발신기세트에 ON-OFF 방식의 옥내소화전이 설치될 경우 추가되는 전선의 가닥수와 배선의 명칭을  쓰시오 (단 ON-OFF 스위치 공통선과 표시등공통선은 별도로 사용한다) 

[소방전기] [기출문제] 경계구역, 감지기, 시각경보장치, 용어의 정의

   [기출문제] 경계구역, 감지기, 시각경보장치, 용어의 정의 [문 제] 화재안전기준에 따른 경계구역, 감지기, 시각경보장치에 대하여 용어의 정의를 쓰시오 (2021년 1회 기출문제) (1) 경계구역 : (2) 감지기 : (3) 시각경보장치 :  [정 답 ] (1) 경계구역 : 특정소방대상물 중 화재신호를 발신하고 그 신호를 수신 및 유효하게 제어할 수 있는 구역 (2) 감지기 : 화재시 발생하는 열, 연기, 불꽃 또는 연소생성물을 자동적으로 검지하여 수신기에 발신하는 장치 (3) 시각경보장치 : 자동화재탐지설비에서 발하는 화재신호를 시각경보기에 전달하여 청각장애인에게 점멸형태의  시각경보를 하는 것   [ 한 문제 더 ] ■ 경계구역 [ 문 제 ] 다음은 경계 구역의 설정 기준에 관한 내용이다. ( )안에 알맞은 답을 쓰시오  (2020년 2회 기출) (1) 하나의 경계 구역이 2개 이상의 건축물에 미치지 아니하도록 할 것 (2) 하나의 경계 구역이 2개 이상의 층에 미치지 아니하도록 할 것, 다만, 500[㎡] 이하의 범위 안에서는  2개의 층을 하나의 경계 구역으로 할 수 있다. (3) 하나의 경계 구역의 면적은 ( ① 600 )㎡ 이하로 하고 한 변의 길이는 ( ② 50 )m 이하로 할 것, 다만, 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주된 출입구에서 그 내부 전체가 보이는 것에 있어서는 한 변의 길이가 50m의  범위 내에서 ( ③ 1,000 )㎡ 이하로 할 수 있다. (4) 하나의 경계구역은 높이 ( ④ 45 )m 이하 (계단 및 경사로)로 할 것 (5) 스프링클러설비, 물분무등소화설비 또는 ( ⑤ 제연설비 )의 화재감지기장치로서 화재감지기를 설치한  경우의 경계구역은 해당 소화설비의 방사구역 또는 ( ⑥ 제연구역 )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. ■ 시각경보장치 [ 문 제 ] 청각장애인용 시각경보장치의 설치기준 3가지만 쓰시오 (단, 화재안전기준...

[소방전기] [기출문제] 펌프용 전동기 용량, 단상변압기 1대 용량

   [기출문제] 펌프용 전동기 용량, 단상변압기 1대 용량 구하기 [ 문 제 ] 지상 31m 되는 곳에 있는 수조에 분당 12㎡의 물을 양수하는 펌프용 전동기에 3상 전력을 공급하려고 한다. 펌프 효율이 65%이고 펌프측 동력에 10%의 여유를 둔다고 할 때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(단, 펌프용 3상 농형 유도전동기의 역률은 1로 가정한다) (2021년 1회 기출) (1) 펌프용 전동기의 용량은 몇 kW인가? □ 계산과정 : □ 답 : (2) 3상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단상 변압기 2대를 V결선하여 이용하고자 한다. 단상변압기 1대의 용량은 몇 kVA 이상이면 되는가? □ 계산과정 : □ 답 :  [ 정 답 ] (1) 펌프용 전동기의 용량은 몇 kW인가? □ 계산과정 :   □ 답 : 102.82 [kW] * 눈으로만 보지말고 식도 직접 써보고 계산기를 이용해서 직접 한번 풀어보세요 ~~~ * 소수점 세째자리까지 구하고 ~~ 올림하는 것도 잊지마시고 ~~ (2) 3상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단상 변압기 2대를 V결선하여 이용하고자 한다. 단상변압기 1대의 용량은 몇 kVA 이상이면 되는가? □ 계산과정 :  □ 답 : 59.36 [kVA]  * 2020년 4회 기출문제와 똑같습니다. 바로 다음회차에도 똑같은 문제가 나올수 있죠 * 그래서 2024년 1회 기출문제도 꼬옥 반복 학습하셔야 겠죠 ^^  

[소방전기] [기출문제] 비내화구조 차동식스포트형 감지기 설치, 수량, 경계구역수

   [기출문제] 차동식스포트형 감지기 설치, 수량 [문제] 비내화구조인 건물에 차동식 스포트형 1종 감지기를 설치할 경우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(단, 감지기가 부착되어 있는 천장의 높이는 3.8m 이다) (2021년 1회 기출)   (1) 다음 각 실에 필요한 감지기의 수량을 산출하시오 ① A실 (계산과정 및 답) ② B실 (계산과정 및 답) ③ C실 (계산과정 및 답) ④ D실 (계산과정 및 답) ⑤ E실 (계산과정 및 답) (2) 실 전체의 경계구역수를 선정하시오 □ 계산과정 : □ 답 :  [ HINT ]  * 스포트형 감지기 설치기준 [표] 를 참조 ~~ 요건 외워야 한답니다. * 설치높이 확인 ⇒ 3.8m 이므로 4m 이하 * 내화구조인지 비내화구조인지 확인 ⇒ 비내화구조 * 1종 인지 2종 인지 감지기 종별 확인 ⇒ 1종 * 표에서 기준면적은 50 제곱미터 [ 표 ]   (1) 다음 각 실에 필요한 감지기의 수량을 산출하시오 * 소수점은 올림으로 개수를 산정하는 것을 잊지마세요 ~~ ① A실 (계산과정 및 답) : 10x7÷50=1.4 (소수점은 올림) , 답 : 2개 ② B실 (계산과정 및 답) : 10x16÷50=3.2 (소수점은 올림) , 답 : 4개 ③ C실 (계산과정 및 답) : 20x15÷50=6 (소수점은 올림) , 답 : 6개 ④ D실 (계산과정 및 답) : 10x15÷50=3 (소수점은 올림) , 답 : 3개 ⑤ E실 (계산과정 및 답) : 30x8÷50=4.8 (소수점은 올림) , 답 : 5개 (2) 실 전체의 경계구역수를 선정하시오 하나의 경계구역 면적은 600제곱미터, 50m이하 □ 계산과정 : (10+20+10) × (7+8+8) ÷ 600 = 1.53 → 2경계구역 □ 답 : 2경계구역 

[소방전기] [기출문제] 유도등의 설치기준,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

   [기출문제]  유도등의 설치기준,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 [문제] 유도등의 설치기준,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관한 다음 ( ) 안을 완성하시오 (2021년 1회 기출) (1) 거실통로유도등은 바닥으로부터 높이 1.5m이상의 위치에 설치할 것, 다만 거실통로에 기둥이 설치된 경우에는 기둥부분의 바닥으로부터 높이 ( ① ) 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. (2) 복도통로유도등은 구부러진 모퉁이 및 보행거리 ( ② )m 마다 설치하고, 바닥으로부터 높이 ( ③ )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. (3) 유도등의 표시면 색상은 통로유도등인 경우 ( ④ ) 바탕에 녹색문자를 사용하여야 한다.  [정답] (1) 거실통로유도등 은 바닥으로부터 높이 1.5m이상의 위치에 설치할 것, 다만 거실통로에 기둥이 설치된 경우에는 기둥부분의 바닥으로부터 높이 ( ①1.5 ) 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. (2) 복도통로유도등 은 구부러진 모퉁이 및 보행거리 ( ②20 )m 마다 설치하고, 바닥으로부터 높이 ( ③1 )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. (3) 유도등의 표시면 색상 은 통로유도등인 경우 ( ④흰색 ) 바탕에 녹색문자를 사용하여야 한다.  ■ 유도등의 종류 1) 피난구 유도등 2) 통로 유도등 - 복도통로유도등, 거실통로유도등, 계단통로유도등 3) 객석 유도등  ■ 유도등의 설치높이